[하지절단] 하퇴의지- 현가장치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9,399회 작성일 09-03-06 15:34본문
♡ 현가장치(suspensions)
<?xml:namespace prefix = o ns = "urn:schemas-microsoft-com:office:office" />
1. 커프 (cuff suspension)
- 일반적으로 PTB에 사용되어 PTB밴드라고도 함
- femoral condyle 과 슬개골 근위부위에서 대퇴부를 감싸고 있어 상과커프라고도 함
재질 : 가죽이나 나일론
모양 : 중심선보다 약간 후방에 부착되어 무릎에서 과신전 되는 힘에 저항해 무릎을 굴곡
시키는 동안 소켓으로부터 절단단이 약감 물러 날 수 있게함
적용 : 무릎의 안정성이 있을 만큼의 길이가 되는 평균길이의 절단단에 적합
(짧은 절단단의 경우에 소켓의 변형으로 현가기능을 갖출수 있으므로 필요치 않고,
대퇴에 커프착용부위에 상처가 있거나 민감한 환자에겐 사용을 금함)
[장점]
- 커프 조절이 쉽고, 교체가 용이
- 착,탈의가 용이
- 대부분의 하퇴절단자가 사용하며, 무릎 신전 조절이 가능
[단점]
- 절단단간의 피스톤작용이 완전이 없어지지 않음
- 무릎 굴곡동안 소켓 후벽의 근위부와 커프 사이에 연부조직이 꼬집히듯 물릴 수 있음
- 커프 조이는 부위가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음
- 추가적 내외측 안정성을 제공할 수 없음
2. PTB supracondylar suprapatellar (PTB-SCSP) suspension
- 절단단의 내외측 및 전후방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킴
모양 : PTB소켓과 비교시, 후벽엔 차이가 없으나 전벽과 내외측벽이 좀 더 높고 양측
대퇴골과와 슬개골을 완전히 감싸고 있는것이 차이
; 본뜨기와 석소수정시, 대퇴골과의 바로 위에서 원래의 내외측 치수보다 줄여주어
현가기능을 주는데 특히 내측을 더 깊게 줄여주고 슬개골에서 가장 근위부분에
안쪽으로 bar모양의 압박을 주어 quadriceps bar를 만들어 주는데, 이것 또한
현가를 도울 뿐 아니라 무릎 과신전을 예방함
적용 : 절단단이 짧은 환자에게 적용(체중지지를 위해 필요한 지지면을 증가시키고 염력에
저항을 주기 때문)
무릎이 내외측으로 불안정한 환자나, 상과커프 착용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적용
But, 비만이 있거나 근육이 매우 발단한 절단자는 적용시키기 힘듬
[장점]
- 디자인 자체적으로 현가장치 시스템을 갖추고 있음
- 커프나 대퇴부 코르셋보다 혈액순환에 장애를 주지 않음
- 무릎의 안정성, 회전력의 조절, 압력분배에 도움이 됨
- 피스톤작용 감소
[단점]
- 슬개골과 대퇴골과위에서 정확한 석고 수정작업이 필요
- 슬개골을 덮고 있어 무릎꿇기에 제한이 있음
- 앉은 자세에서 외벽이 높아 외관으로 좋지않고 의복손상이 쉬움
3. PTB supracodylar (SC) suspension
- KBM(Kondylen Bettyng Münster)형 소켓이라고도 함
- 슬개골을 덮고 있지 않다는 것이 특징
모양 : 소켓의 내외측 벽은 마찬가지로 대퇴골과의 상부에 있지만, 전면부에는 슬개골의
원위부 근처까지 내려와 있음
; PTB-SCSP소켓에 비해 대퇴사두근바가 없으며, 무릎의 신전 조절기능도 미약
적용 : 절단환자가 무릎 꿇기를 많이 하거나 슬개골이 감싸져 있는것과 대퇴사두근 바의
압력을 견디지 못할 때 사용
; 이 소켓의 사용을 위해 절단환자는 안정적인 십자인대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만
무릎에서 신전을 멈추게 할 신전정지가 필요치 않게 됨
[장점]
- PTB-SCSP소켓보다 다소 외관이 좋음
- 무릎 꿇기가 용이
[단점]
- 슬개골을 감싸주고 있지 않아 소켓의 내외측벽이 유연성이 발생해 내외측 안정성 감소
- 무릎 신전정지가 없고 현가기능이 다소 떨어짐
4. PTB-SC 소켓 & PTB-SCSP소켓의 수정된 소켓
1) PTB-SC소켓에 사용하는 탈착 가능한 웨지형 소프트 라이너
- 의지착용시 절단환자의 절단단에서 대퇴골 내과의 상부를 충분히 압박해 현가기능을
도움
2) 탈착 가능한 내측벽을 가진 소켓
- 소켓 내벽 근위부를 떼어 낼 수 있어 절단단이 소켓내로 쉽게 들어갈 수 있게 되어있음
; 내벽에 금속 탈착부품을 삽입하여 소켓을 제작해야하며 , 절단단을 소켓에 넣은 후
다시 내벽을 소켓과 결합 시킬 수 있음
3) 내측 웨지를 사용한 소켓
- 내측상과에만 적용시키는 탈착용 웨지를 사용한것
; 절단단을 소켓내부에 넣은 후 , 대퇴골과 내과부위에서 절단단과 소켓 내벽 사이에
탈착용 웨지를 삽입하는 방법
5. 슬리브(sleeve)현가장치
재질 : 얇은 라텍스고무나 네오프렌
착용 : 의지의 근위부에서 시작해 절단환자의 대퇴부 5-10cm까지 일반적으로 착용
기능
- 환자 피부에 접촉하게 하여, 밀폐된 공간을 소켓에 제공
- 유각기동안의 음악, 절단단과 소켓 간의 마찰력, 슬리브내에서의 세로방향의 장력등
현가력이 작용
- PTB-SC현가장치를 사용하는 절단자가 스포츠나 여가활동 동안 뛰아난 현가기능 발휘
[장점]
- 현가장치 중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
- 피스톤 작용을 최소화함
- 다른 현가장치에 비해 추가적인 작업공정이 필요 없음
[단점]
- 추가적인 슬관절의 안정성을 줄 수 없음
- 오래 사용할 수록 현가기능이 감소
- 발한으로 인한 피부자극과 위생문제가 발생해 정기적 교환이 필요
- 신고 벗을때 정교한 손 기능이 있어야 함
- 무릎 꿇는 동작이 필요한 환자에게 슬리브가 내구성이 덜함
6. 실리콘 흡입식 소켓(silicone suction socket)
; 3-S 소켓, 아이스로스 라고도 불림
기능
- 실리콘 라이너를 절단단에 직접 착용해 소켓의 피스톤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단력을
급격히 감소시킴
- 피부에 직접 밀착된 실리콘 자체의 흡입력과, 셔틀락 시스템이라고 하는 실리콘 라이너의
원위 끝에 연결 된 핀과 소켓의 원위부에 미리 부착된 잠금장치로서 현가기능을 가짐
[장점]
- 매우 기능적이며 개선된 현가장치
- 다른 현가장치에 비해 무릎굴곡의 가동범위가 증가
- 절단단의 전단력이 감소
[단점]
- 실리콘 라이너의 착용이 몇몇 절단자에게 어려울 수 있음
- 실리콘이 찢어지거나 구멍 난 경우 흡입력이 급격히 감소
7. 측면관절(side joint)과 대퇴부 코르셋(thigh corset)
적용
- 하퇴절단자의 현가장치로 종종 허리벨트 현가장치와 같이 사용되기도 함
- 체중지지면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대퇴부를 활용하고 절단단에 대한 염력를 감소시키기
위해 사용
- 슬관절이 불안정 할 때 적용
- 절단단이 짧은 경우나, 노인 절단자에게 가장 적합 (현가장치중 가장 견고하게 현가)
- 중노동 같이 힘든 일을 하는 사용자자를 제외하고 유용하게 사용
[장점]
- 무릎이 완전히 신전되는 것을 막음
(후면에 끈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, 끈의 조절에 다라 환자의 요구에 맞게 여러
각도로 조절 가능)
- 연장된 지렛대는 내외측의 안정성을 최대화 시켜줌
- 후면의 끈으로 전반슬을 효과적으로 예방 가능
* 대퇴부 코르셋
- 가죽재질
- 하퇴절단자의 대퇴부 원위2/3를 덮어 조여 줌
- 금속재질의 측면관절에 의해 부착되어 소켓과 연결
- 고유감각적 피드백 증가
[단점]
- 대퇴부 코르셋을 너무 꽉 조여주기 때문에 소켓 내 전면접촉이 잘 되지 않음
- 대퇴부의 코르셋을 착용한 부분에 근 위축 발생 빈도가 높음
- 가죽 자체가 위생적이지 못함
- 측면관절의 중심이 내외측으로 일치 하여야만 이네의 움직임에 방해되지 않음
- 측면관절을 소켓에 부착해 무게가 증가하며 무릎에서 돌출되므로 외관이 안 좋음
- 의지제작시간이 많이 필요
- 허리 벨트 같은 추가적 현가장치가 필요
8. 허리벨트(waist belt)현가장치
적용
- 독립적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주로 보조적인 현가장치로 사용
; 장골능위나 장골능과 대전자 사이에 위치해야 함
- 수술 후에 의지착용 할 때 주로 사용
; 절단단의 체적 변화에 상관없이 사용가능
- 피부나 혈관 상태로 인해 의지 구조상 원위부에 부품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할 때도 적합
- 노인환자나 쇠약한 사용자의 경우 더욱 확실한 현가장치를 위해 사용
- 의지착용후 스포츠를 즐기는 사용자에게 사용
but, 벨트 착용부에 심한 상처가 있거나 피부가 민감할 경우 사용을 금지함
모양 : 절단측에 대퇴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탄력스트랩이 있으며 원위부에 버클이 부착되어
있음. PTB커프에도 스트랩을 부착하여 탄력 스트랩에 연결시켜 사용
[장점]
- 의지무게를 장골능 부위에서 분배 되도록 함
- 상과커프나 다른 현가장치가 부적절할 때 보조적 현가장치로 사용
- 허리벨트에 부착된 탄력 스트랩은 무릎 신전에 도움을 줌
[단점]
- 착용이 불편
- 유각기 동안 무릎굴곡시 현가기능이 똑같은 비율로서 지속적인 탄성을 유지해야 함
- 허리벨트 단독 사용시, 무릎의 내외측 안정성을 제공하지 못함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